IT

중국 내 한국수입품 입지 축소세 '뚜렷'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동현 기자
2019-10-13 16:00:41

중국 내 한국 제품, 메모리 반도체와 화장품만 경쟁력 갖춰

기술력 낮은 제품군 위주로 강세…향후 경쟁국의 대체 가능할수도

[사진=아주경제DB]

 중국 내에서 한국 제품은 메모리 반도체와 화장품만이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마저도 기술력이 낮은 축에 속하는 제품군으로 향후 경쟁국에 의해 대체가 가능할 수 있다는 부정적인 전망도 나오고 있다.

13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2008∼2018년 중국의 중간재 수입시장을 기술수준별로 분석한 결과, 부가가치가 낮은 저·중위 기술제품의 비중이 3.8%포인트와 6.3%포인트 각각 감소했다. 반면 부가가치가 높은 고위 기술제품은 15.8%에서 21.1%로 5.2%포인트 늘었다.

고위 기술제품 수입은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등을 중심으로 급증했고 저·중위 기술제품은 화학 및 전기·전자제품을 중심으로 크게 둔화했다.

고부가가치 중간재는 아직 중국의 자급이 어렵고 부가가치가 낮은 중간재는 자급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고위 기술 중간재 수입시장의 주요 국가별 점유율은 한국이 21.1%로 일본(6.8%), 미국(4.2%), 독일(1.8%) 등을 압도했다.

그러나 중국 전체 메모리반도체 수입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한국산 메모리 반도체를 제외할 경우 올해 상반기 이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9.7%로 일본(7.0%)과 격차가 2.7%포인트에 불과했다.

중간재 전체 수입 점유율은 지난해부터 일본이 앞서고 있다.

고부가가치 의료용품과 화학공업제품 수입은 연평균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나, 한국의 점유율은 낮아지는 추세다.

중국의 수입비중 변화는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으로 원자재를 수입해 국내에서 완제품을 생산하는 구조로 바뀌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중국산 철강, 원유관련 반제품의 자급이 확대되면서 범용소재 중심인 한국산 품목의 경쟁력이 떨어졌다.

한국으로부터 화장품 수입은 급격히 늘어나 지난해 한국 소비재 총수입 중 화장품의 비중이 39.1%나 됐다. 대(對)한국 소비재 수입 중 기타 화장품 수입은 연평균(2008∼2018년) 55.4% 증가해 수입규모는 2008년 대비 100배 가까이 성장했다.

그러나 한국은 주로 기술 장벽이 상대적으로 낮은 품목에 집중돼 향후 경쟁국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강성은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원은 "중국의 중간재와 소비재 수입이 고부가가치 품목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만큼 반도체와 화장품에 편중된 수출품목을 다변화하고 기술력과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