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
상장 앞둔 SK바이오, '백신개발' 가능성↑… '핑크빛' 흥행예감 [사진=SK바이오사이언스] SK바이오사이언스가 코로나19 백신 생산에 이어 개발까지 탄력을 받으면서 내년 예정된 기업공개(IPO)에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다만 SK바이오사이언스가 위탁생산(CMO) 하기로 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임상3상 과정에서 난항을 겪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10일 SK바이오사이언스에 따르면 자사 두번째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인 'GBP510'을 연내 임상에 진입시키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제민간기구 CEPI(전염병대비혁신연합)로부터 1000만달러(약 108억원)를 지원받게 되면서 임상과정이 보다 속도감 있게 진행되고 있다. 앞서 CEPI는 빌&멜린다게이츠재단으로부터 보조금을 받아 추진하고 있는 'Wave2'(차세대 코로나19 백신) 개발 프로젝트와 관련, 첫 지원대상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의 'GBP510'를 선정했다. 'GBP510'는 개발이 완료되면 CEPI와 GAVI(세계백신면역연합), WHO(세계보건기구) 등 국제기구들이 주도하는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를 통해 전세계에 공급될 예정이다. 백신 생산 전문기업으로 잘 알려졌던 SK바이오사이언스가 코로나 국면을 거치면서 백신 개발 능력까지 재조명 받게 된 것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의 첫번째 코로나 백신 후보물질인 'NBP2001'은 지난달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1상 시험계획을 최종 승인받기도 했다. 현재 시장에서는 SK바이오사이언스의 기업가치를 3조원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지만, 코로나 백신 개발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질수록 몸값도 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달 초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하고 상장위원회 심의를 기다리고 있다. 내달 심사 결과가 나오는대로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해 내년 상반기 중 코스피에 입성한다는 목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상장을 통해 기존 사업의 신속한 전개와 확장, 해외사업 확대 등으로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주요국이 코로나 백신 도입에 나서면서 SK바이오사이언스의 본업인 위탁생산(CMO)도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 7월 영국 아스트라제네카와 코로나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맺은 데 이어 미국 노바백스와 위탁개발생산(CDMO)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특히 아스트라제네카는 우리나라 정부가 선(先)구매 계약을 체결한 유일한 코로나 백신이다. 다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관련한 논란은 SK바이오사이언스가 넘어야 할 난관이기도 하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 백신 임상3상 시험이 내년 중반쯤이 되어서야 끝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르면 연내 임상이 끝날 것이란 예상 보다 반년 가량 늦춰지는 것이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백신 복용량에 따라 효능이 크게 달랐다는 임상3상 중간결과를 최근 발표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투자은행(IB)업계 관계자는 "아스트라제네카가 임상과정에서 난항을 겪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임상을 진행하면서 시행착오는 불가피한 것"이라며 "SK바이오사이언스가 위탁생산뿐 아니라 자체 백신 개발도 각광을 받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상장 과정에서 아스트라제네카의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전했다. 2020-12-10
-
美 생산·고용지표 부진에 재정정책 기대감↑ [사진=한화투자증권] 미국 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의 재확산으로 경제지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주식 시장은 오히려 지수가 상승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부진한 경기지표로 오히려 미국 경재당국이 재정정책을 가속화할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11월 ISM 제조업지수는 예상치를 0.5, 전월치를 1.8 하회한 57.5, ISM 서비스업지수도 전월치를 0.7 하회한 55.9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해당 두 지표 하락이 생산과 운송 활동의 차질로 생산자, 소비자의 전방위적 재고 하락을 보여준다고 지적한다. 실제 미국의 제조업 재고/출하 비율은 1.41배로 코로나19 확산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었다. 소매업의 재고/판매 비율은 1.22배로 역대 최저 수준이다. 세부적인 질적 지표도 상당히 악화된 모습을 보였다. 잠재실업자(Persons who Currently Want a Job but Not in Labor Force)는 44만8000명 증가했고, 비일시적 해고에 의한 실업자 수는 21만4000명 늘었다. 이는 고용지표 개선이 일시적 해고(Layoffs)로부터의 복귀가 주도하고 있고, 여전히 장기적 실업자 및 유휴 노동력이 누적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자산 시장에는 자금이 더 유입되는 모양새다. 미국 주식시장은 부정적인 고용지표에 불구하고 3대 지수가 모두 역사적 고점을 기록했으며, 채권 시장은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 12월 4일 미국 국채 10년물은 0.966%로 마감했으며, 장중 0.986%까지 상승했다. 다만, 미국 재정당국이 마냥 '비둘기적'으로 나오진 않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실제 2021년 FOMC 투표권을 갖는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12월 FOMC에서 "연준 정책의 변경을 요청할 준비돼 있지 않으며 미국 경제가 오랫동안 완화적 통화정책적 지원이 필요하겠으나, 낮은 금리가 금융시장 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키운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FOMC 내 '매파'를 대변하는 카플란 댈러스 연은 총재도 지금은 재정정책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에 채권 매입 방식에 변화를 줄 필요가 없으며, 2021년에는 채권 매입의 테이퍼링이 시작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진명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기적인 낙관적 시나리오가 장기적 리스크 확대를 막기 위해 단기적인 완화적 통화정책 강화에 제약을 가하는 모습"이라며 "동절기, 코로나 재확산 진행에 따른 미국 실물경제 전반의 하방 압력은 지속되겠으나, 통화정책적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은 낮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0-12-07
-
FDA 승인에 렘데시비르주 '폭등'…인텔 낸드 품은 SK하이닉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번주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자국 제약사 길리어드사이언스의 항바이러스 약물 '렘데시비르'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치료제로 정식 승인하면서 동일한 성분으로 치료제를 개발 중인 제약·바이오 기업의 주가가 폭등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또한 SK하이닉스가 인텔의 '낸드 사업 부문'을 10조3000억원에 인수한 소식도 세간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인수가 완료되면 SK하이닉스가 세계 낸드 시장 5위에서 단숨에 2위로 뛰어오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제약회사 길리어드는 렘데시비르가 FDA의 코로나19 치료제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관련 소식은 주식시장이 마감된 뒤에 발표돼 길리어드 주가가 시간외 거래에서 2.28달러(3.76%) 급등한 62.95달러에 거래됐다. 국내 렘데시비르 관련주도 강세를 보였다. 렘데시비르의 원료인 '뉴클레시오드'를 생산하는 파미셀의 경우 전날보다 2600원(16.15%) 오른 1만8700원에 마감했다. 렘데시비르 원료의약품(API) 상용화 기술을 가진 맥스로텍도 상한가(30%)에 도달해 3510원까지 올랐다. 앞서 FDA는 올해 5월 코로나19 치료를 위해 렘데시비르의 긴급 사용을 승인했다. 다만, 당시에는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기간에만 사용을 허용한다는 전제가 붙었다. 렘데시비르는 현재까지 FDA 승인을 받은 유일한 코로나19 치료제로, 이달 1일에는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입원 기간 이 약물을 투약한 사실이 전해져 화제가 됐다. 하지만 FDA의 승인 결정에 앞서 WHO(세계보건기구)는 이달 초 렘데시비르가 코로나19 환자의 입원 기간을 단축시키거나 사망률을 낮추지 못했다는 다국적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한 바 있어, 앞으로 렘데시비르의 효능에 대한 논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주에는 SK하이닉스가 인텔의 낸드 사업부분을 인수한 소식도 눈길을 끌었다. SK하이닉스가 미국 인텔사의 '낸드 사업 부문' 전체를 인수하는 비용은 무려 10조3104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전혀쟀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인수로 SK하이닉스가 낸드 사업 분야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SK하이닉스가 인텔을 인수하면 낸드시장 점유율은 약 20%에 달하게 돼 기존 2위였던 키옥시아(19%)를 제치고 삼성에 이어 글로벌 2위로 도약하게 된다. 방탄소년단으로 대표되는 빅히트 주가 변동도 한주가 증권가를 달군 뉴스 중 하나다. 코스피 시장에 화려하게 데뷔했던 빅히트엔터텐인먼트는 상장 일주일 만에 시가총액(시총) 6조원이 증발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빅히트는 23일 전일(18만원)대비 7500원(-4.17%) 떨어진 17만2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빅히트는 상장 첫날인 지난 15일 따상(시초가가 공모가의 2배를 기록하고 이후 상한가)을 기록한 후 날개 없는 추락을 이어가고 있다. 최고가 35만1000원과 비교하면 거의 반토막(48.8%)난 상태다. 주가 하락으로 자연스럽게 시총도 같이 추락하고 있다. 상장 직후 시총 12조원을 기록해 27위까지 올라갔던 빅히트는 현재 반토막난 6조1262억원으로 코스피 시총 43위까지 내려갔다. 투자업계에서는 빅히트 주가 하락 원인으로 ‘기타법인’의 매도세를 꼽았다. 빅히트의 4대 주주 메인스톤 유한회사는 15일부터 20일까지 빅히트 주식 120만769주를 장내 매도했다. 빅히트 주요 주주 명단에는 오르지 않았던 메인스톤의 특수관계인인 이스톤 제1호 사모투자합자회사도 같은 기간 38만1112주를 처분했다. 이번 매도로 메인스톤과 이스톤은 각각 현금 3644억원, 885억원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2020-10-24
-
'불맛 낸다더니…' 직화 간편식 제품 절반 이상서 발암 가능물질 검출 [자료=최혜영 의원실] 직화 닭발, 직화 껍데기 등 불맛을 강조하는 간편식 직화 제품 절반 이상에서 발암가능 물질로 알려진 ‘3-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3-MCPD)가 검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혜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받은 ‘2019년 즉석식품류 3-MCPD 오염도 조사’ 자료에 따르면 닭발, 껍데기, 막창 구이 등 간편식 직화 제품 20개 가운데 총 11개 제품에서 3-MCPD가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볶음밥, 덮밥류 등의 간편식 제품 30개 중에서는 7개(23.3%)에서 3-MCPD 성분이 검출됐으며 간편식 안주 제품(23개 중 6개·26.1%), 간편식 국·찌개 제품(30개 중 4개·13.3%) 등에서도 확인됐다. 특히 간편식 직화 제품의 경우, 3-MCPD 기준이 설정돼 있지 않지만 해당 제품들이 원료로 사용한 간장의 기준치(0.1mg/kg)를 초과하는 제품이 11개 중 8개나 됐다고 최 의원 측은 지적했다. 이 중에는 대형마트 자체 상표를 달았거나 유명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제품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3-MCPD는 식물성 단백가수분해물(HVP)로 만드는 간장이나 수프, 소스류 등의 식품 제조 과정 중 생성된다. 국내에서는 산분해간장, 혼합간장, 식물성단백가수분해물 등에 3-MCPD 기준을 설정해 관리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RAC)도 이를 인체 발암가능 물질(그룹2B)로 분류한다. 앞서 홍콩, 벨기에 등에서는 마가린, 쿠키 등에서 3-MCPD가 검출돼 논란이 일기도 했다. 최 의원 측은 식약처가 이런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4월 가정간편식 3600건의 오염도 여부를 조사하겠다고 계획했지만 실제 조사에서는 건수를 계획안의 13%인 480건으로 대폭 축소했다고 비판했다. 최 의원은 “지난해 즉석식품류 실태조사에서 3-MCPD가 검출되고 있어 식약처 스스로 가정간편식의 유해물질을 조사하겠다며 나섰지만 결국은 생색만 낸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의경 식약처장은 “간편식품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원인 규명 및 제조 공정을 통한 저감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2020-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