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살려면 변해야"…'생색내기'에서 '필수조건'된 건설사 ESG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덕호 기자
2021-02-25 10:01:10

환경·지배구조 들여다보는 투자자…눈치보는 건설업계

태백 가덕산 풍력단지 [사진=코오롱글로벌]

비재무적 경영 요소인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의미하는 ESG가 건설사들의 필수 생존조건이 되고 있다. 지속가능한 성장, 사회공헌이 중요해지면서다. 

2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 투자신탁사, 공제회가 EGS 경영을 눈여겨 보기 시작했다. 매출액·영업이익 등 재무적 지표만으로 기업을 평가하던 과거와 달리 기업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꼼꼼히 따겠다는 것이다. 

한국교직원공제회는 2017년부터 투자대상 항목에 ESG유형을 신설했고, 대한지방행정공제회와 교직원공제회도 2018년부터 '탈석탄' 금융 의지를 밝혔다. 석탄화력발전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관련된 회사채는 사들이지 않겠다는 내용이 담긴 선언이다.

보험업계도 ESG관련 사항을 엄격히 보기 시작했다. NH농협손해보험은 NH-아문디 자산운용과 ‘ESG 채권 투자일임 계약’을 체결했고, 삼성생명, 삼성화재는 탈석탄 결정을 내렸다. 

이에 건설사들은 ESG를 경영 일상에 반영하고 있다. 삼성물산은 화력발전소 입찰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결정을 내렸고, SK건설은 지난해 7월 친환경 사업 부문을 신설하고 에너지기술 부문을 신에너지 사업 부문으로 개편하는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정부차원에서 ESG 지원이 이뤄진다는 점이다. ‘그린뉴딜’을 주요 정책 과제로 삼고, 친환경·저탄소 분야에 5년간 73조원을 투자한다고 밝힌 것이 대표적이다. 불안요소인 해외건설 수주액을 대체할 수 있는 신 사업이다. 

해외 개발형 사업을 지원하는 다자개발은행(MDB), 수출입은행과 무역보험공사가 자금을 조달하는 경우에도 ESG가 중요하게 반영되면서 ESG경영은 신사업 확대, 해외 공사 수주에도 영향을 미치게 됐다.

정부 지원도 진행된다. 오는 2025년까지 70조원 이사의 자금을 풀어 친환경 인프라 조성에 나선다. 대표적인 사업은 해상풍력, 신재생에너지 설비 구축이다. 해상풍력발전은 오는 2030년까지 발전 규모를 12GW로 늘린다. 영국, 독일, 중국, 미국에 이은 세계 5위가 목표다.

지난해까지 완공된 해상풍력규모는 ▲탐라 30㎿ ▲영광 34.5㎿ ▲서남해 실증단지 60㎿ 등 총 124.5㎿에 그친다. 지난해 추진된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2.4GW)을 비롯해 ▲신안(8.2GW) ▲울산(6.0GW) ▲제주(0.6GW) ▲인천(0.6GW) 등의 프로그램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아쉬운 점은 건설사들의 ESG 투자나 비용이 아직은 많지 않다는 점이다. 전통적인 방식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친환경사업인 풍력발전, 태양열 발전 등에 집중할 뿐이다. 경영 전반을 바꾸기 보다는 "있는 재산으로 잘하기"에 주력한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건설사 CEO들이 신년사에서 경영 전반 EGS경영을 강조하고 나섰지만 아직 어떤 기업도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지는 않고 있다”라며 “전통적인 건설산업인 주택, 토목, 플랜트 산업의 수익성 보다 주목하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투자금을 유치하는 환경이 변했기에 환경 가버넌스 가중치를 위해 추진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한화손해보험
넷마블
국민은행
NH투자증권
보령
신한은행
KB금융그룹
기업은행
하이닉스
신한금융
신한라이프
미래에셋자산운용
우리은행
하나금융그룹
대원제약
주안파크자이
kb_지점안내
KB증권
kb금융그룹
경남은행
KB희망부자
KB희망부자
한화손해보험
부영그룹
신한금융지주
메리츠증권
하나증권
스마일게이트
KB희망부자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